home   Contact Us   관리자
새손농원
새손은 새끼손가락의 준말로 약속을 의미합니다.

결구상추는 그 독특한 맛 때문에 샐러드로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잎은 녹색으로 연하고 수분의 함량은 95%정도이며 비타민 A, B. C. E. 및 다량의 철분을 함유 하고 있어 영양가가 매우 풍부하여 생식용으로 적합하다

국화과 채소 중에서 가장 대중적이며 널리 재배되고 있는 작물은 상추이다.
주로 샐러드로 이용되고 있는 상추는 우리나라에서만 특이하게 쌈용 소비가 주축을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품종의 발달과도 무관하지 않다.
상추가 우리나라에 도입된 것은 고려시대로 알려져 있을 만큼 재배역사가 오래되었고 외식산업의 번성과 함께 육류의 소비가 늘면서 상추 소비와 함께 재배면적도 크게 늘었다. 우리나라 상추 생산은 6,778ha 에서 179,998 M/T 정도이며(농림부, 2002) 거의 대부분 쌈용과 샐러드로 소비되고 있다.
최근 상추재배의 특징은 재배 형태가 노지재배보다는 시설재배가 주류를 이루게됨에 따라 시설 내에서의 작형에 구애됨이 없이 주년 생산되어 신선한 상추를 연중 식탁에 올릴 수 있게 되었다
상추

재배기술

육묘

상추의 발아적온은 15~30°C 이며 종자의 저장조건은 0~40 조건이 좋다. 이렇듯 낮은 온도로 종자를 저장하면 여름철 고온기에 파종을 한다할지라도 높은 발아율을 보이며 낮은 온도에서 종자 수명이 오래 유지된다. 따라서 상추 종자는 반드시 냉장고에 저장한다.
종자 소요량은 102 당 60ml 내외이며 포장규격 20ml 당 종자는 약 7,500립니다. 파종은 육묘상을 만들어 6cm 간겨긍로 작은골을 내어 파종하는 방법과 플러그 트레이에 육묘하는 방법이 있는데 128 공 또는 72공 플러그 트레이에 유묘하는 것이 관리에 편리하고 모가 고르게 자람 본밭에 내다 심어도 몸살을 적게 한다. 상추 묘는 본잎이 4~5매 가량 도리 때 키워 본밭에 심는다. 이때 소요되는 육묘기간은 봄,가을은 30일, 여름철은 25일, 겨울청은 35~40일 가랑 소요된다.

정식

상추를 심을 본 밭은 정식 10일 전까지 밑거름을 넣고 경운 정지하여 이랑을 만들어둔다. 이때 제초노력을 경감시키기 위해서는 유색비닐을 멀칭한다.
멀칭을 할 포장은 멀칭 재료 아래에 관수용 점적호스 또는 분스호스를 넣어 피복한다. 정식 간격은 앞상추의 경우 15x15cm 또는 15x20cm 가 가장 무난하며, 아주 좁혀 밀식을 한다면 10x15cm가 한계이다. 그러나 결구상추는 재식거리를 이보다 넓혀서 30x30cm , 반결구 상추는 25x25cm 간격으로 심는다.

거름주기

상추는 다른 작물에 비해 생육기간이 짧은 편이지만 그렇다고 비료를 무시할 수 없는 작물이다. 특히 여름재배에서는 비료가 부족할 경우에는 추대가 빨라지므로 밑거름과 웃거름을 소홀히 해서는 안된다.

관리

상추 물관리는 분수식 물주기가 보편적이나 잎을 생식하는 상추에서 분수호스 관수는 흙탕물이 튀어서 잎에 묻으면 상품성을 떨어뜨린다. 따라서 컬러비닐 멀칭을 하거나 점적호스로 관수하는 것이 좋다.
여름철 고온기에 시설 내 온도상승을 막기 위해 차광을 할 때는 35% 이하의 흑색차광망을 사용한다. 차광률이 35%를 넘을 경우에는 상추가 웃자라며 추대가 빨라져서 수량이 떨어지므로, 차광망 사용에 유의해야 한다.

수확

치마상추의 생산은 정식후 2주 후부터 수확이 가능하며 축면상추는 1개월이 되면 수확할 수 있다. 또, 결구 상추는 생육기간이 더 길어서 정식에서 수확까지 2개월 가량 소요되며 품종의 특성이나 재배시기에 따라서 생육기간은 달라진다 치마상추의 수확은 잎 길이가 15cm 내외에서 수확하는 것이 소비자 기호에 알맞다.
상추의 상품 규격은 잎 길이에 따라 대(21cm 이상), 중(15~21cm), 소(15cm 미만)로 구분하고 있으나 업소에서의 기호성은 중,소 규격이 높다. 소 포장단위는 100g, 150g, 200g, 300g, 500g, 1kg, 2kg, 4kg 으로 유통되고 있다. 경구상추는 1개당 무게를 기준으로 대(500g 이상), 중(300-500g), 소(300g 미만)으로 구분하여 4~8kg으로 포장하여 출하한다.